사랑이의 건강정보

조현병 초기증상 원인과 치료

사랑쓰러운 2023. 3. 13. 20:03
반응형

안녕하세요 사랑입니다. 오늘은 조현병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조현병이란 무엇일까?

조현병이란 환각, 망상, 와해된 언어나 행동, 사고장애나 사회적 위축 및 감정반응 저하 등의 증상을 일정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증상으로 직업, 학업, 대인관계 등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질환입니다.
 
-환각 :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실제처럼 느끼는 증상으로 환청을 듣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망상 : 잘못된 생각이나 신념을 가리킵니다.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터무니없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사실이라고 믿을 수 있습니다,
-음성증상 : 모든 것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감정 자체가 줄어든 것처럼 보입니다. 단정치 못한 복장과
비위생적은 생활을 하거나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이 적어지고 자발적으로 말하는 양이 감소하기도 합니다.
-인지증상 : 집중, 학습 또는 생각을 정리하기 어렵거나 문제해결 능력의 저하를 경험하기도 합니다.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전에도 친구 관계의 변화, 학업성적의 저하, 수면문제, 예민하고 신경질적인 반응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조현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스트레스와 취약성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취약성이 낮 하고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낮은 상황에서도 취약성이 높아지면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취약성'이란 타고난 어떤 '민감한 부분'을 뜻합니다.
대표적인 취약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학적 취약성 : 유전, 분만 시 손상, 비정상적 발달, 바이러스 감염, 약물 중독
-사회적 취약성 : 어렸을 때 왕따또는 학폭의 경험, 어렸을 때 가정환경, 도시의 복작한 환경, 가난
-심리적 취약성 ; 대인관계의 복잡성, 인지적 특성( 사고의 유연성 저하, 공감의 어려움, 외구귀인 편향, 부정적인 자기상등)
 
어떤 사람은 위장이 민감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은 심장이 민감하거나 또 신경계통이 민감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마음(뇌)이 민감한 사람은 조현병에 좀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조현병의 치료방법은?

조현병이 대표적 치료방법으로는 인지 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있습니다
 
인지적 특성(생각하는 방식)은 조현병의 발생과 지속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인지적 취약성을
극복하는 것이 조현인지치료의  목표입니다.
어떻게 하면 망상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는지, 망상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해 나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환청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면 무의욕증을 극복할 수 있는지, 약에 대한 편견이나
혐오감을 어떻게 바로 잡아야 할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과 생각의 방향을 인지치료를 통해 배우게 됩니다.
 
약물치료로 증상이 좋아진 후 스스로의 병에 대해 좀 더 이해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잘 관리하고 싶은 경우, 약물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환청이나 망상이 지속되어 증상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지적 행동치료는 의지로 조절 가능한 '생각(인지)'과 '행동'을 조절하는 연습을 통해, 이 악순환을 벗어나 감정을 다스리고
증상을 극복하는 치료입니다.
상담치료와는 달리 현재 여기서 문제가 되는 몇 개의 대표증상(문제)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비교적 단기간의 체계화된 
치료 프로그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