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의 부업 및 금융정보

전월세신고제 과태료 최대 100만원? 2025년 6월부터 달라지는 부동산 규정

사랑쓰러운 2025. 4. 10. 08:16
반응형

최근 부동산 뉴스 보셨나요?
2025년 6월부터 전월세신고제가 드디어 정식 시행된다고 합니다.
"몰랐으면 100만 원 낼 뻔했다"는 말이 그냥 나온 게 아니에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전월세신고제에 대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와, 과태료 부과 기준, 그리고 전월세 계약 신고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전월세신고제란 무엇인가요?

전월세신고제는 2020년 제정된 임대차 3 법 중 하나입니다.
임대인과 임차인 간 전월세 계약 내용을 지방자치단체에 의무적으로 신고하는 제도인데요.

  • 보증금 6000만 원 초과 또는
  • 월세 30만 원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처음 도입 당시에는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고 계도기간을 운영했지만,
2025년 6월부터는 과태료 부과가 본격화됩니다.

전월세신고제 과태료 부과 기준

과태료 부과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구분 과태료금액
신고 지연 최대 30만원
허위 신고 최대 100만원

✅ 단순 지연 신고는 과태료를 완화(100만 원 → 30만 원)했지만,
❌ 거짓 신고는 여전히 최대 100만원까지 부과됩니다.

정확한 계약 내용기한 내 신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월세 계약 신고 방법

전월세 계약 신고는 어렵지 않습니다.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요.

  1. 방문 신고: 관할 주민센터(동사무소) 방문
  2. 온라인 신고:
    👉 임대차 신고 시스템 (정부 공식 사이트)

신고 시 필요한 서류는 기본적으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임대인·임차인 신분증,
  • 기타 계약 관련 증빙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꼭 기억하세요!

  • 6월 1일부터 계약한 건부터 적용됩니다.
  • 기존에 신고하지 않았던 계약건은 소급 적용되지 않습니다.
  • 부동산 중개를 통해 계약한 경우, 중개사가 신고를 대신할 수 있지만 최종 책임은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있다는 점도 유의하세요.

전월세신고제는 왜 필요한가?

정부는 전월세 거래 투명성을 높이고,
세입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이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을 더 공정하고 투명하게 만들기 위한 큰 걸음인 만큼,
우리도 새로운 제도에 맞춰 현명하게 대처해야겠죠?

2025년 6월 전월세신고제 정식 시행!
과태료 100만 원 물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꼭 숙지해 두세요.
지금 바로 본인 계약 상태도 점검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