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난소의 양성종양
난소에 액성,점액성,고형이 든 주머니가 생긴 것으로 대부분 양성의 혹이며, 20대에서 30대에서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2. 증상
무증상이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하복부통증
소변이 자주 마렵다
밑이 빠지는 것 같은 증상
복부둘레의 증가
비정상 출혈
생리 없음
월경과다
3종류
1) 기능성 종양
난포에서 생긴 낭종, 황체낭종, 루테인 낭종등은 모두 기능성 종양으로 특별한 수술이 필요 없습니다
(1) 난포낭종(물혹)
-난포에 비정상적으로 물이 고여서 혹이 생김
-난종 안으로 출혈이 생기면 난포혈종이라고 합니다.
-기능성 난조종양 중에서 가장 흔합니다.
-8cm 이상 초과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며, 직경 5cm 이하 난소 낭종의 95%는 기능성 낭종입니다.
-내진상에서 우연히 발견되는데 대게는 4~8주 이내에 자연 소멸됩니다.
-젊은 여성의 경우는 8~10주, 중년기에는 4~5주 정도 기다려 본 후 수술을 결정하며 폐경기인 경우는 즉시 수술을 요합니다
-
(2) 황체낭종
-배란 후 생기는 황체는 정상적으로 남성 구조를 가지며, 임신이 안 된 경우에 황체는 정상적으로 작아져 사라집니다.
그러나 황체가 3cm를 초과하면 낭종이라 부릅니다.
-보통 직경이 4cm 정도지만 드물게 11cm 이상 큰 것도 보고되곤 합니다
-파열 시 심한 출혈에 의해 수술할 수도 있습니다
-간혹 자궁 외 임신과 혼돈할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임신반응검사를 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소멸되므로 관찰만 합니다.
-크기가 매우 크거나 복강 내 출혈의 증거가 있을 시에는 낭종을 절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3) 루테인낭종
-정상 임신의 경우에는 드물지만, 포상기태나 융모상피암이 있을 경우에는 자주 동반됩니다.
-크기는 약 30cm까지는 커질 수 있으나 대부분 자연적으로 소멸됩니다.
2) 충실설 종양
(1) 기형종
-30세 정도의 젊은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약 10%에서는 양쪽 난소 모두에 생기기도 합니다
-악성으로 변하는 경우는 약 2% 정도이고 지방성분이 많아 골반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여 다니다가 꼬일 수 있어
응급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혹의 내부에 머리카락이나 치아들이 들어있어 엑스선 사진을 찍어보면 쉽게 알 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초음파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수술 시 정산 난소 조직을 남기면서 종양을 제거합니다.
(2) 장액성 종양
-50세 이하 여성에게서 생기는 난소 종양의 약 20%가 장액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양성입니다.
-양축성의 빈도는 약 15~20% 정도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높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증상이 없는 환자나 점차 복부가 증대되는 환자에게 내진 혹은 초음파에 의해 종양을 알 수 있습니다.
-아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혹만 제거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난소 전체를 제거합니다.
(3) 점액성종양
-대게 종양의 내부가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 있으며, 약 10%에서는 양축성이고, 난소 종양에서 가장 크게 자라는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4. 진단
1) 초음파검사
종양의 발생장소 즉 자궁, 난소, 장, 기타 다른 부위 중 어느 부위에서 생겼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양성인지 악성인지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는 줄 수 있습니다. 복부 초음파보다는 질식 초음파가 골반 내 장기를 더 정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2) CT/MRI검사
종양의 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거나 비 부인과적 질환의 감별을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
5. 치료
1) 기능성 난소 낭종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지켜보면서 소멸여부를 확인합니다.
2) 증상이 있는 양성 종양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검사를 받아야 하며, 통증이 심하거나 악성이 의심되면 즉각적인 수술을 받아야 해요
악성이 의심되지 않으면서 통증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통증제를 복용하면서 지켜볼 수 있습니다.
'사랑이의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혹시 당뇨병?(원인과 합병증) (0) | 2023.03.12 |
---|---|
우리 아이가 열이 날 때 (0) | 2023.03.12 |
자궁경부암의 원인과 증상 예방 (0) | 2023.03.12 |
자궁에 출혈이? (0) | 2023.03.12 |
전진 아내 류이서도 자궁근종? 자궁근종의 원인과 치료 (0) | 2023.03.12 |